보혜사 수행과 실천> 자비도량참법
자비도량참법은 ‘양왕참’이라고도 합니다.
참법기도는 중국의 양 무제가 황후 치씨를 위해 스님들이 만든 기도법입니다.
치씨가 죽은 후 수개월이 되도록 무제는 슬퍼하여 낮에는 일이 손에 잡지 않고 밤에는 잠을 이루지 못했습니다. 어느 날 잠자리에 있는데 밖에서 이상한 소리가 들렸습니다. 내다보니 큰 구렁이가 위로 기어 올라오는데 빨간 눈과 낼름거리는 입으로 무제를 바라보고 있었습니다. 무제는 크게 놀랐으나 도망칠 수가 없었습니다. 할 수 없이 벌떡 일어나 구렁이를 보고 말했습니다.
“짐의 궁전이 엄숙하여 너 같은 뱀이 들어 올 수 없는 곳인데 이 요망한 물건이 짐을 해하려는 것이로구나.” 뱀이 사람의 말로 임금에게 말했습니다.
“저는 옛날의 치씨이옵니다. 신첩이 살았을 적에 육(六) 궁들을 질투하며 성품이 혹독하여 한번 성을 내면 불이 일어나는 듯, 활로 쏘는 듯, 물건을 부수고 사람을 해하였더니, 죽은 뒤에 그 과보로 구렁이가 되었습니다. 예전에 폐하께서 총애해주신 은혜에 감격하여 이 누추한 몸으로 폐하의 어전에 나타나 간청하오니 무슨 공덕이든 지어서 제도하여 주시옵소서.”
무제가 듣고 흐느껴 울다가 구렁이를 찾았으나 보이지 않았습니다.
이튿날 무제는 스님들을 궁궐 뜰에 모아놓고 그 사실을 말하고 가장 좋은 계책을 물어 고통을 구제하려 했습니다.
지공스님이 대답했습니다. “모름지기 부처님께 예배하면서 참법(懺法)을 정성스럽게 행해야 합니다.”
무제는 그 말을 옳게 여기고 여러 불경을 열람해 명호를 기록하고 생각을 펴서 참회문을 지으니 모두 10권인데 부처님의 말씀을 찾아서 번거로운 것은 덜어버리고 참법을 만들어 독송했습니다.
어느 날 궁전에 향기가 진동하면서 점점 주위가 아름다워지는데 그 연유를 알지 못했습니다. 무제가 우러러 보니 한 천인이 있었습니다. 그는 용모가 단정했습니다. 무제에게 말하기를 “저는 구렁이의 후신입니다. 폐하의 공덕을 입어 이미 도리천에 왕생했사오며 이제 본신을 나타내어 영험을 보이나이다.”
그리고 은근하게 사례하고는 마침내 보이지 않았습니다.
양나라 때부터 오늘날까지 많은 불자들에게 전해져 독송됐습니다.
자비도량참법은 미륵부처님의 현몽에 의하여 『자비도량참법』이라고 이름하였습니다.
양나라때부터 오늘날까지 천여년동안 전해져 오는 이 참회법을 지성으로 예참하면 원하는 것 모두 감응한다 하였습니다.
참법의 공덕은 본인과 망령들의 업장을 소멸을 하고, 보살의 환희지를 높이고, 죄가 없어지고 또 원결이 풀린다고 하였습니다.
자비도량참법 기도를 해서 업장을 소멸하여 나를 위한 회향이기보다 남을 위한 회향을 하여 가족과 이웃을 사랑하고 존중하고, 부처님께 귀의하고, 중생을 제도한다는 마음으로 실천수행한다는 그 마음을 먼저 베풀면, 그것이 온 세상에 퍼져 모두가 행복한 불국토가 될 것입니다.
자비도량참법을 시작하기 전 청정한 단을 차리고 불·보살님을 청하고 성문, 연각승을 청하여 귀의한다.
삼보를 찬탄하며, 자비도량참법을 짓게 된 연유와 이 참법을 받아 지니는 공덕을 말하고, 또한 대승의 보살행을 강조하는 뜻으로 보현보살을 뵙기를 발원하며, 모든 중생들이 참다운 보리심 발하기를 원하며 예배 찬탄한다.
참법은 화엄경 중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보살수행의 경지를 단계적으로 설명한 십지품(十地品)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10권의 내용들이 그에 따르는 보살의 지위에 따라 내용을 달리하고 있다.
1권은 크고 큰 환희심을 내는 경지인 환희지보살(歡喜地菩薩)의 계위를 말하고 있다.
이는 부처님과 보살들의 마음을 기억함으로써 생기는 종교적인 환희심이다.
크고 큰 환희심은 대자비심이 없으면 생(生) 할 수 없다. 즉 항상 자비심을 가지고 불·보살을 믿고 공경하며 스스로 부끄러운 줄을 알고 밤낮으로 좋은 공덕 쌓기를 서원하며, 자신의 쾌락을 만족시키는 것을 전혀 구하지 않는 것이 환희지에 들어간 보살의 실천인 것이다.
먼저 수행의 시작으로서 공덕의 보고(寶庫)인 삼보에 귀의하며, 수희 찬탄한다. 진정한 인연해탈과 모든 공부의 첫 걸음은 삼보에 귀의하는 데서 시작함이며, 그후 공부에 가장 큰 장애가 되는 의심[無明]을 끊은 후 진정한 참회로 보리심을 발한다. 이는 모든 인연을 풀기 위함이다.
2권은 번뇌의 더러운 때를 버리고 청정한 계율을 지키는 경지인 이구지보살(離垢地菩薩)의 계위이다. 모든 악을 끊고 계율을 잘 지키며, 적극적으로 선을 행하여 모든 중생을 보살펴 널리 이익을 주는 이타행(利他行)의 실천이다.
1권에 이어 진정한 참회를 한 후 바른 신심과 기도하는 마음, 정진하는 마음을 잃지 않는 보리심을 발한다. 이는 현재 정진하는 마음의 상태이다.
보리심은 상속(相續)되지 않기 때문에 끊임없는 발원을 해서 힘을 더하여 준다. 그런 다음 더 큰 보살의 마음과 공덕을 성취하기 위해 일체중생에게 회향하는 회향심(回向心), 보살의 마음을 발한다.
즉 처음은 내 수행으로 시작하지만 이 경전을 통해 모든 중생에게 회향함을 말한다.
3권은 빛을 발하는 경지인 발광지(發光地)의 계위이다.
이에 들기 위해서는 10가지 깊은 마음이 필요하다. 깨끗한 마음, 씩씩하고 예리한 마음, 악을 싫어하는 마음, 욕심을 떠난 마음, 보리심에서 물러나지 않는 마음, 견고한 마음, 매우 밝은 마음, 공부하는데 만족이 없이 정진하는 마음, 훌륭한 마음, 보살의 큰 마음이다. 이러한 마음들이 모여 밝은 빛을 발하는 명지(明地) 즉 발광지(發光地)인 보살의 실천이 이루어진다.
3권과 4권은 현과보에 대한 내용과 지옥 중생을 구재하기 위한 발원과 회향으로 이루어진다.
화보는 지금 지어서 바로 받는 것이며, 과보는 진행이 되어 나중에 받는 것이다.
현재 나의 모습과 처한 일들이 모두 인연에 의해 받는 것임을 나타내고 있다. 어떠한 행에 따라 나타나는 과보를 보임으로써 한시도 나태하거나 헛되게 살수 없음을 경각시켜주며, 우리가 한 순간의 잘못된 행과 생각으로 인해 언제든 이러한 과보를 받을 수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4권은 지혜의 불이 번뇌를 태워버리는 경지인 염혜지(焰慧地)의 계위이다.
보살이 이 염혜지에 머물면 천억의 악마도 청정한 도를 파괴할 수 없다. 마치 투명한 구슬이 진흙속에 빠지거나 비를 맞아도 결코 맑고 깨끗함을 잃지 않는 것과 같이 그 지혜도 청정해져서 어떤 유혹에도 흔들리지 않고 그 청정함을 유지하는 것이다.
3권에 이어 현재 나타나는 과보에 대해 열거하고, 내가 지은 모든 행에 따라 오는 결과[業]는 티끌만한 것 조차도 그냥 지나치는 것 없이 그에 합당한 과보를 받게 됨을 말한다. 또한 지옥에서 고통(과보)을 받고 있는 중생을 위해 보리심을 발하고 기도해 줌으로 인해 나의 보살행이 이루어짐을 말하며, 일체중생에게 회향함을 뜻한다.
3권과 4권에서 말하는 과보가 있으니 늘 깨어 있는 삶을 살아야 하며, 이러한 과보는 보리심을 발하지 않으면 녹일 수 없다. 이는 앞에서 말한 1권과 2권의 내용처럼 삼보에게 예경하고 귀의한 공덕과 보리심을 발하고 일체 중생에게 회향하는 공덕으로 녹일 수 있다.
5권은 끊기 어려운 무명을 끊는 경지인 난승지(難勝地)의 계위이다.
이 단계에 오르면 먼저 갖가지 진리(이치)를 알게 된다. 이 경지에서 연마한 지혜와 선근은 모두 중생을 구제하기 위함이다.
이에 머무는 보살은 모든 것을 잊어버리지 않고 기억에 뛰어난 사람이라는 의미에서 염자(念者), 지혜로써 모든 일들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지자(智者), 계율을 버리지 않기 때문에 마음이 굳은 사람이라는 뜻에서 견심자(堅心者), 선정을 잘 닦기 때문에 신통을 얻은 자라는 뜻에서 득신통자(得神通者)라고 불린다.
6권은 반야의 지혜가 나타나는 경지인 현전지(現前地)의 계위이다.
이 경지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10가지 평등을 얻어야만 한다. 일체법은 성품이 없고, 모양이 없고, 태어남이 없고, 멸함이 없고, 본래 청정하고, 쓸데없는 말이 없고, 취하거나 버리지도 않으며, 떠남이고, 꿈과 같고, 있고 없음이 둘이 아님을 깨닫는 것이다.
5권과 6권은 해원석결 즉 원결을 해탈하는 내용이다. 두권이나 원결을 해탈하는 것을 말할 정도로 이 부분이 우리의 삶에 있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원결은 현재 진행중인 인연법이다. 모든 이들이 원결에 엉켜 있는데 그것을 모르고 사는 경우도 많다. 원결은 미움 뿐이 아닌 좋고, 싫음의 모든 것을 말한다. 이러한 것의 이치를 바로 깨달아 인연법을 풀지 않으면 미끄럼틀을 오르내리는 것처럼 늘 그 자리이다.
나의 허물을 참회하고 원결을 푸는 동시에 이러한 원결에 얽혀 있는 중생들을 위해 기도해 주는 것이다.
7권은 성문, 연각의 이승의 경지를 멀리 떠날 수 있는 경지인 원행지(遠行地)의 계위이다.
제6지에서 제7지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10바라밀을 갖추어야 한다.
10바라밀 가운데 1~6은 6바라밀(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지혜)과 같고 7~10은 지혜를 도출하는 수단을 얻는 것, 지혜를 구하고자 하는 원(願)을 세우는 것, 선을 행하고 진실과 거짓을 판별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 궁극적이고 응용력 있는 지혜를 얻는 것 등이다.
지금부터는 참다운 실천수행의 계위이다. 불법을 만나고 삼보에 귀의한 것을 스스로 찬탄하며, 감사하고, 소중하게 생각하면서 환희용약한다. 또한 대중을 위해 다시 한번 크게 마음을 발한다.
지옥이나 아귀에 나지 않고 인간으로 태어나 삼보와 인연 맺음을 찬탄한다. 또한 삼보를 찬탄한 후 뒤에 (8권과 9권)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서 일체 모든 선신과 불·보살께 다시 크나큰 발원을 한다. 천도, 제선, 범왕들 조차도 깨달음을 얻길 바라며, 발원 · 예불한다. 이는 이들이 수행하지 못해서가 아니라 이러한 인연으로 내가 공덕을 짓고 보살행(모든 기도와 찬탄)을 하기 위해서이다.
8권은 수행이 완성되어 더 이상 흔들림이 없이 저절로 보살행을 행하는 경지인 부동지(不動地)의 계위이다.
심행(深行)의 보살이라 부르는데, 이 보살은 모든 세간의 모습이나 탐욕과 집착을 벗어났으며, 성문, 연각 등의 수행자들은 절대로 무너뜨릴 수 없는 부동의 경지에 머물 수 있다. 이 부동의 경지를 지탱해주는 것은 견고한 선정의 힘임을 잊어서는 안된다.
오직 일체중생의 해탈을 발원하는 부동지 보살의 마음으로 모든 인연들을 위해 회향하며 예경한다.
가장 가까운 인연인 부모, 사장등의 인연들에게 회향하며, 해탈할 수 있기를 발원하고, 비구 · 비구니에게 회향하며, 현재 수행하는 이들이 깨닫기를 바라며 기도하고 회향한다. 무엇이든 부처님께 예경함으로서 그 업의 강을 건너 간다는 원리가 담겨있다.
9권은 지혜가 뛰어나서 어떠한 곳에서도 가르침을 설할 수 있는 경지인 선혜지(善慧地)의 계위이다.
이 계위에 들기 위해서는 10가지 지혜가 필요하다. 부처님이 설한 진리의 창고 즉 경장(經藏)에 깊이 들어갈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9지에 머무는 보살은 중생의 마음과 능력과 욕망과 각각 다른 것을 원하는 자가 있다는 것을 잘 알아야 한다. 또한 여기에 머무는 보살은 네 가지 걸림없는 말솜씨를 지닌다.
가르침에 관해 막히지 않고, 가르침의 내용을 잘 알고 막히지 않고, 여러 가지 언어에 능통하여 자유자재하게 구사하고, 중생을 위해 자유롭게 설법하는 것이다. 지금부터는 참다운 지혜로 수행을 하는 단계이다.
지옥중생은 그나마 제도하기 쉽지만 천신들은 복덕이 구족하여 있기에 더 어렵다. 그러므로 8권의 공덕으로 9권의 중생에게 회향하는 내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10권은 지혜의 구름이 널리 감로의 비를 내리는 경지인 법운지(法雲地)의 계위이다.
보살은 행(실천수행)을 하지 않고는 정각을 이룰 수 없다. 6근으로 말미암아 모든 업(業)이 시작된다.
바르게 보고 듣는 바른 수행의 지표를 세워야 한다. 범부는 6근 경계를 벗어나지 못하므로 이 안에 모든 수행의 원리가 들어있다고 할 수 있다.
제행법문으로 법의 문에 들수 있는 행을 말해 주고, 다시한번 말세의 모든 중생들을 보살들에게 부촉한다. 그러한 후 비로소 변함이 없는 마음인 정각지(금강심)에 들어가는 보살의 마음을 말한다.
우편번호 25117 ) 강원도 홍천군 홍천읍 높은터로134번길 95
전화 : 033-435-0138 | 팩스 : 033-435-0382
이메일 : bohyesa0138@hanmail.net
Copyright ⓒ 보혜사 All rights reserved.
기도비 입금계좌 안내
예금주: 사단법인 대한불교조계종 보혜사 | 문의 : 보혜사 종무소
농협 351-0076-9363-13
국민은행 313501-04-139782
신한은행 100-026-489489